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보기

(144)
그리스도, 너를 화형에 처하겠다 ▲ 예수를 비난하는 대심문관. 러시아 현대화가의 그림 사형수 도스토예프스키 영하 20도의 날씨, 총살대로 사내들이 끌려왔다. 그들은 정부가 금한 불온한 모임에서 불온한 편지를 낭독했다는 이유로 사형선고를 받았다. 집행관이 판결문을 낭독했다. 마지막 5분이 주어지고, 28세의 한 사형수는 그 시간을 어떻게 쓸지 생각했다. 그는 2분은 동료와의 작별에 쓰고 2분으로 자기의 삶을 돌아보고 마지막 1분은 지상의 풍경을 둘러보기로 했다. 그때 형장에서 그리 멀지 않은 교회의 금빛 지붕이 햇빛에 반사되어 빛났다. 그 광경에 완전히 매혹된 그는, 지금 자신이 죽지 않는다면 1분 1초를 100년처럼 여겨 단 한 순간도 잃어버리지 않을 거라고, 1초의 시간도 낭비하지 않겠다고 생각했다. 그때 집행관이 손수건을 흔들었다...
'민중'이란 무엇인가? - 말의 기원과 의미 최근 ‘민중’이란 말의 의미와 관련하여 오고가는 말들이 많습니다. 대체 ‘민중’이라는 말은 언제부터 쓰이기 시작했을까요? 그리고 그 정확한 속뜻은 무엇일까요? 『한국인의 탄생』에서 최정운 교수가 이야기하는 민중의 기원과 의미에 대해 정리해보았습니다. 민중(民衆)이란 무엇인가? - 말의 기원과 의미 ▲ 1948년 8월15일 정부 수립을 축하하기 위해 구중앙청 광장에 모인 사람들 ‘민중’이라는 말은 한국에서는 5.18 광주민중항쟁 이후 1980년대 중반부터 널리 쓰이기 시작하여 현재는 강한 어조를 가진 정치 언어로 자리 잡았습니다. ‘민중’은 사회과학적 의미에서 어떤 계급이나 집단을 지칭하는 말도 아니며, 단순히 큰 무리의 사람들이나 백성을 지칭하는 말도 아닙니다. 저항과 생명의 의미를 가진 이 ‘민중’이라..
2013년 서울 북페스티벌 이한 변호사 강연 소개 - 철학으로 본 자유로운 삶이란 무엇인가 2013년 이 11월 7, 8, 9일 (목~토) 3일간 시청광장에서 진행됩니다. 이번에는 서울도서관(옛 시청 건물)에서 여러 저자 선생님들의 강연회가 계획되어 있는데요. 특히 여러분께 이한 변호사의 '샤프한' 강연을 소개해드리려 합니다. 이번 강연은 평소 정치철학을 전문으로 강연해 온 이한 변호사가 주제를 확장하여 삶에 대해 철학적 질문을 던지는 전례없이 독특하고 흥미로운 강연이 될 것입니다. 강연 제목 철학으로 본, 자유로운 삶이란 무엇인가? 강연 일시와 장소 2013년 11월 7일 (목요일) 오후 2~3시 (서울도서관) 강연 소개 자유로운 삶을 산다는 것은 무엇일까? 자유로운 삶이란 "왜 그것이 좋은 삶인가, 왜 그것을 추구하는가" 하는 이유에 비추어 자기 삶을 반성하고 검토하며, 그 결과에 따라 매..
『한국인의 탄생』 서평 모음 지난 한 주 많은 언론에서 『한국인의 탄생』(최정운 지음) 출간 소식을 비중 있게 다루었습니다. 언론 보도를 한데 모아봤습니다. "[책과 삶] 일제 암흑기 작가들이 열망했던 '강한 조선인' 그는 정녕 무엇일까" (2013. 10. 18.) "[오늘의 사색] 한국인의 탄생" (2013.12.19.) "[책과 삶] 새해에 읽어도 정신의 버팀목이 될 ‘2013 올해의 책’" (2013.12.27.) "[장정일의 독서일기] ‘강한 한국인’은 어떻게 발명되었나" (2013.11.18.) "한국인의 탄생: “진정한 강함”이란 무엇인가?" (2014.1.15.), ([서평] Aporia Review of Books, Vol.2, No.2, 2014년 2월, 배수찬, 울산대학교 국어국문학부 교수) "친일파 증오 아닌 ..
소말리아 해적 대해부(2) - 기원, 변화, 멘털리티 소말리아 해적에 관한 두 번째 이야기. 왜 소말리아 어부들은 해적이 되었을까요? 이번 글에서는 소말리아 해적의 탄생에 얽힌 비극적 역사와 그들의 멘털리티를 살펴봅니다. 1편보다 더욱 흥미진진합니다! ▲ 아프리카의 뿔을 중심으로 점점 확대되는 소말리아 해적의 활동 범위 왜 소말리아 어부들은 해적이 되었나? "아무도 우리 이야기를 들어주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우리는 우리 바다에 불법으로 들어오는 배들을 공격하기로 했습니다." - 에이들, 15년 형을 선고받은 소말리아 해적 "아프리카의 뿔"이라고 불리는 소말리아는 긴 해안선으로 인도양을 마주하고 있다. 소말리아는 처음에 어자원이 풍족했다. 그러나 1991년부터 시작된 내전으로 소말리아는 사실상 국가 붕괴 상태에 이르렀다. 법과 제도가 존재하는 곳이 아니라 군..
소말리아 해적 대해부(1) - 방법, 인원, 장비, 투자수익률 톰 행크스 주연의 영화 는 2009년 소말리아 해적에게 납치되었던 미국 상선 머스크앨라배마 호의 이야기를 그린 영화입니다. 소말리아 해적의 정체는 무엇일까요? 그들은 정말로 자포자기한 어부 무리일 뿐인 걸까요? 아니면 조직적인 범죄 집단일까요? 그들과 소말리아를 사로잡고 있는 이슬람 극단주의 세력(알 샤바브)와의 관계는 무엇일까요? 소말리아 해적을 본격 해부하는 글 두 편을 미지북스가 준비했습니다. 소말리아 해적들은 어떻게 배를 납치하는가? 소말리아 해적들은 작은 모터 보트에 소수의 인원이 타고 아덴 만을 지나는 선박을 상대로 해적 행위를 한다. 이때 모터 보트는 육지가 아니라 규모가 훨씬 큰 모선에서 출발하는데, 모선은 보통 해적 행위로 빼앗은 대형 트롤 어선인 경우가 많으며 해적들의 움직이는 해상 기..
『한국인의 탄생』 - 시대와 대결한 근대 한국인의 진화 『한국인의 탄생』 시대와 대결한 근대 한국인의 진화 최정운 지음 | 미지북스 | 2013년 | 580쪽 | 20,000원 망국 조선, 지옥의 불구덩이에서 우리 한국인은 태어났다. 해방 한국, 한국인은 그 무엇과도 싸울 준비가 되어 있었다. 근대 문학에 대한 치밀한 분석을 통해 한국인 정체성을 심층적으로 재구성하다. 우리의 근현대 역사는 사람이 살 수 없는 곳, 그런 상황에서 시작되었다. 우리는 구한말, 즉 조선 말기와 대한제국 시기의 역사를 어떻게 기억하고 있을까? 물론 우리 대부분은 이 시기의 역사를 어떤 식으로든 배웠고 알고 있다. 그 내용은, 1904년 러일 전쟁 후에 을사조약으로 국권이 공식적으로 침탈당하고 이후 일본이 완전히 강제 ‘병탄’하기까지 점차 우리나라를 집어삼켜 가던 과정, 그리고 우리..
플라스틱의 생태학적 계보 플라스틱의 생태학적 계보 오늘날 대부분의 플라스틱은 석유로 만들어집니다. 석유는 탄화수소입니다. 탄소와 수소로 이루어진 유기화합물이죠. 석유는 과거 수 억 년에 걸쳐 바다에 가라앉은 플랑크톤과 해양 생명체들의 사체가 오랫동안 땅 밑에서 열과 압력을 받아 생성된 것입니다. ‘돌에서 나는 기름’인 석유는 역사 시대 초창기부터 알려져 있었습니다. 심지어 구약 성서에도 사람들이 석유를 사용한 것이 기록되어 있다고 합니다. 사람들은 예리코 성벽에 역청을 발랐고 고대 바그다드의 도로를 아스팔트로 포장했으며, 캘리포니아의 츄마시 인디언들은 카누에 역청을 발랐습니다. 13세기에 마르코 폴로는 중국으로 가면서 오늘날 러시아 남쪽의 아제르바이잔을 지나갔는데 그곳의 유정에서 나오는 기름의 양이 “매일 여러 척의 배를 채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