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문
[역사 삼국지] - 군웅할거에서 통일전쟁까지 184~280
역사 삼국지 군웅할거에서 통일전쟁까지 184~280 최진열 지음 | 1116쪽 | 43,000원 지도와 사서로 읽는 삼국 전쟁사 위진남북조시대 국내 최고 권위자 서울대학교 동양사학과 최진열 박사의 10년 노작! 소설 삼국지와 정사 삼국지를 넘어 가장 완전한 삼국지 국내 역사학자가 쓴 본격 삼국지 역사서이자 지도와 사서(史書)로 읽는 삼국 전쟁사. 군웅할거에서 삼국정립, 서진의 통일전쟁에 이르기까지, 난세에 답한 영웅들의 모든 이야기가 펼쳐진다. 저자 최진열 박사는 중국 위진남북조시대 관련 국내 최고 권위자로 오랜 세월 삼국지 시대의 역사에 관해 연구했다. 저자는 진수의 정사『삼국지』뿐만 아니라, 『후한서』, 『자치통감』, 『진서』 등 그 시대를 다루는 거의 모든 사료를 분석하고 종합하여, 가장 객관적인 ..
-
인문
[중국 군벌 전쟁] - 현대 중국을 연 군웅의 천하 쟁탈전 1895~1930
중국 군벌 전쟁현대 중국을 연 군웅의 천하 쟁탈전 1895~1930권성욱 지음 | 1396쪽 | 48,000원 현대 중국을 만든 용광로, 20세기의 "춘추전국시대"를 가다! 청조 멸망 후 중국은 전국에서 할거한 군벌들로 조각나 있었다. 황제가 되고자 한 위안스카이, 동북왕 장쭤린, 중원의 패자 우페이푸, 남방의 혁명가 쑨원 등 전국 각지의 군벌들이 합종연횡을 거듭하며 경쟁했다. 쑨원과 장제스가 지도하는 국민당은 혁명을 완수하고 현대적인 공화국을 수립하기 위한 노력을 수십 년간 거듭했다. 마오쩌둥의 공산당 역시 한쪽에서 세력을 키워나갔다. 중국 군벌 전쟁은 현대 중국이 그 형태를 갖추어가는 ‘용광로’와도 같은 시기였다. 군사력으로 볼 때 가장 약체였던 국민당은 쑨원마저 죽고 사분오열의 위기에 처했지만, 장..
-
인문
[독일 현대사] - 1871년 독일제국 수립부터 현재까지
독일 현대사1871년 독일제국 수립부터 현재까지디트릭 올로 지음 | 문수현 옮김 | 852쪽 | 38,000원 두 번의 통일, 제국과 공화국 사이를 오간 근현대 독일에 관한 거의 모든 역사 이 책은 지금껏 국내에 소개된 다양한 독일 역사서와 비교할 때 가장 정통적인 서술 방식을 따라, 전통적인 의미의 이야기식 역사 대신 독일의 국내 정치, 외교관계, 사회경제적 상황, 문화를 네 축으로 삼아 각 시대의 독일사를 풀어내고 있다. 독일 근현대사는 각각 두 번에 걸친 통일과 세계대전 등 세계를 뒤흔든 주요한 사건들과 비스마르크, 힌덴부르크, 히틀러, 토마스 만, 마를레네 디트리히, 아데나워, 호네커, 귄터 그라스, 메르켈 등 다채로운 빛을 발했던 인물들이 펼쳐 보이는 파노라마다. 국내외 정치, 경제, 문화에 근..
-
사회과학
[신냉전에서 살아남기] - 한국의 외교적 자율성을 위한 12가지 질문
신냉전에서 살아남기 한국의 외교적 자율성을 위한 12가지 질문 최용섭 지음 | 256쪽 | 15,800원 동맹에게 버림받을 것인가? 분쟁에 연루될 것인가? 가속하는 미중 패권 경쟁 속에서 한국 외교는 어떻게 자율성을 획득할 것인가? 한국은 초강대국 미국의 지원을 받으며 선진국 반열에 올랐지만 한국에 안전보장과 막대한 부를 가져다주었던 한미동맹은 지금 한국의 미래를 불안하게 하고 있다. 격화되는 미중 패권 경쟁이 한국의 외교적 자율성을 크게 제약하고 있기 때문이다. 한국은 미국에게 버림받을지, 아니면 중국과의 분쟁에 연루될지 선택을 강요당하는 ‘방기와 연루의 딜레마’에 빠져든 형국이다. 이 책은 한국이 처해 있는 국제정치적 입지와 나아갈 바를 밝힌 외교 전략서이다. 이 책의 저자 최용섭 선문대 국제관계학과..
-
사회과학
[취약국가 대한민국의 탄생] - 국가 건설의 시대 1945~1950
취약국가 대한민국의 탄생국가 건설의 시대 1945~1950이택선 지음 | 352쪽 | 18,000원 국가 건설에 필요한 모든 자원이 부족했던 신생 대한민국이 붕괴하지 않은 이유는 무엇인가? 대한민국은 ‘취약국가’로 태어났다. 대한민국 건설 과정에서 가장 핵심적인 문제는 국가 건설에 필요한 자원들이 턱없이 부족했다는 것이었다. 초창기 한국 정부는 군대와 경찰 같은 안보 자원뿐만 아니라 재정과 인력 측면에서도 심각한 부족에 허덕였다. 국가는 부족한 물적 자원의 대체물로 ‘민족주의’라는 이념 자원을 수시로 동원해야 했다. 그러나 분단이라는 태생적 한계와 북한이라는 실질적인 군사적 위험, 국내에 발생한 광범위한 저항과 반란의 위협 앞에 민족주의 이념은 수축되고 왜곡되는 과정을 겪었다. 생존의 기로에서 국가는 부..
-
인문
[자유의 법] - 미국 연방대법원 판결로 보는 자유의 역사
자유의 법로널드 드워킨 지음 | 이민열 옮김 | 612쪽 | 22,000원 법철학의 대가 로널드 드워킨이 말하는 헌법과 자유법이 자유를 보호할 때 사회는 더욱 민주적일 수 있다. 국가가 낙태를 금지하는 것은 왜 위헌일까? 언론은 반드시 모든 사실을 확인한 후 보도해야만 하는 것일까? 국기를 불태우는 행위는 허용될 수 있을까? 포르노그래피는 금지되어야 할까? 왜 대학은 홀로코스트를 부정하는 연구를 한다는 이유로 학자를 해고할 수 없는 것일까? 시민의 자유는 어디까지 보호되어야 하는 것일까?『자유의 법』은 ‘법철학의 거두’ 로널드 드워킨이 이러한 물음들에 대해 ‘자유’의 관점에서 일관되고 성실하게 답한 책이다. 로널드 드워킨은 ‘평등에 바탕을 둔 자유주의 사상’을 주창한 미국 법철학계의 최고 석학으로, 존 ..
리스트 예시: 게시물이 존재할 경우 3건을 노출합니다.
-
사회과학
[신냉전에서 살아남기] - 한국의 외교적 자율성을 위한 12가지 질문
신냉전에서 살아남기 한국의 외교적 자율성을 위한 12가지 질문 최용섭 지음 | 256쪽 | 15,800원 동맹에게 버림받을 것인가? 분쟁에 연루될 것인가? 가속하는 미중 패권 경쟁 속에서 한국 외교는 어떻게 자율성을 획득할 것인가? 한국은 초강대국 미국의 지원을 받으며 선진국 반열에 올랐지만 한국에 안전보장과 막대한 부를 가져다주었던 한미동맹은 지금 한국의 미래를 불안하게 하고 있다. 격화되는 미중 패권 경쟁이 한국의 외교적 자율성을 크게 제약하고 있기 때문이다. 한국은 미국에게 버림받을지, 아니면 중국과의 분쟁에 연루될지 선택을 강요당하는 ‘방기와 연루의 딜레마’에 빠져든 형국이다. 이 책은 한국이 처해 있는 국제정치적 입지와 나아갈 바를 밝힌 외교 전략서이다. 이 책의 저자 최용섭 선문대 국제관계학과..
-
인문
[역사 삼국지] - 군웅할거에서 통일전쟁까지 184~280
역사 삼국지 군웅할거에서 통일전쟁까지 184~280 최진열 지음 | 1116쪽 | 43,000원 지도와 사서로 읽는 삼국 전쟁사 위진남북조시대 국내 최고 권위자 서울대학교 동양사학과 최진열 박사의 10년 노작! 소설 삼국지와 정사 삼국지를 넘어 가장 완전한 삼국지 국내 역사학자가 쓴 본격 삼국지 역사서이자 지도와 사서(史書)로 읽는 삼국 전쟁사. 군웅할거에서 삼국정립, 서진의 통일전쟁에 이르기까지, 난세에 답한 영웅들의 모든 이야기가 펼쳐진다. 저자 최진열 박사는 중국 위진남북조시대 관련 국내 최고 권위자로 오랜 세월 삼국지 시대의 역사에 관해 연구했다. 저자는 진수의 정사『삼국지』뿐만 아니라, 『후한서』, 『자치통감』, 『진서』 등 그 시대를 다루는 거의 모든 사료를 분석하고 종합하여, 가장 객관적인 ..
-
사회과학
[오늘의 세계 분쟁] - 국제 분쟁 전문가 김재명의 전선 리포트
오늘의 세계 분쟁 국제 분쟁 전문가 김재명의 전선 리포트 (최신 개정판) 김재명 지음 | 586쪽 | 22,800원 세계는 왜 싸우는가? 국제 분쟁 전문가 김재명이 탐사한 세계 15개 분쟁 지역 PLO, 하마스 등 혁명가, 반군 지도자들 직접 인터뷰 전쟁, 내전, 테러리즘의 이면을 분석하는 풍부한 이론적 배경 [오늘의 세계 분쟁]은 국제 분쟁 전문가로 활동해 온 김재명 박사가 지난 20년 동안 세계 15개 분쟁 지역을 취재한 현장 리포트이다. 이 책은 세계 곳곳에서 일어나는 전쟁, 내전, 테러의 현장을 충실히 소개하며, 분쟁의 원인을 심도 있게 분석한다. 이 책에서 다루는 분쟁 지역들은 모두 저자가 현장 취재한 곳으로 중동, 발칸반도, 서아프리카, 동남아시아, 중남미 등으로 지구촌의 거의 모든 주요 분쟁..
-
美知 - 책 읽기
장진호 전투 - 개마고원의 혹한과 중국군의 포위, 미 해병대는 어떻게 살아남을 수 있었나?
미 해병대는 처음 한국에 침략자로 왔으나 훗날 한국전쟁에서는 말 그대로 한국을 구한 주역이었다. 낙동강 방어 전선 당시만 해도 한반도 대탈출 계획(남태평양 서사모아로 한국인 집단 이주)까지 세울 정도로 전세가 어두웠지만 맥아더의 인천상륙작전으로 반전되었다. 자기 숭배에 빠져있으며 상륙작전 중독자였던 맥아더는 어느 면으로 보아도 불필요한 작전 명령을 내렸다. 서울을 수복하여 서울 북쪽에 있던 제10군단을 빼내어 바다로 한반도를 한 바퀴 돌아 원산에 상륙시켜 함경도로 진군시키는 명령을 내린 것이다. 그러나 미 해병대가 원산에 상륙했을 때는 이미 남쪽에서 육로로 진격한 한국군에 의해 원산이 함락된 상태였다. 맥아더는 태평양전쟁 때부터 해병대원들에게 ‘대피호 더그’라는 멸칭으로 불렸다. 맥아더가 필리핀 주둔 미..
-
사회과학
[미 해병대 이야기] - 가장 먼저 도착해 가장 나중에 떠나는 세계 최강의 전투부대
미 해병대 이야기 가장 먼저 도착해 가장 나중에 떠나는 세계 최강의 전투부대 한종수, 김상순 지음 | 592쪽 | 22,000원 왜 미 해병대가 최강의 전투부대인가? 태평양의 정글에서 한반도의 동토, 이라크 사막에 이르기까지 극한의 환경에서 수많은 전투를 치른 미 해병대의 살아 있는 역사 미국이 세계 최강의 국가로 부상하는 동안 그 선두에는 늘 미 해병대가 있었다. 미국 독립전쟁 시기에 ‘턴태번’이라는 술집에서 창설된 미 해병대는 해상 육박전을 전문으로 하는 소규모 부대로 출발했다. 19세기에는 중남미와 지중해, 아시아 등지에서 미국의 첨병으로 활약했고(조선을 침략하기도 했다: 신미양요), 1차대전에서는 유럽 전장에서 독일군과 싸웠다. 그러나 ‘진정한’ 해병대로 거듭나는 계기는 2차대전, 정확히는 태평양..